SMALL

조선 제3대 왕 태종( 1367~1422, 재위 1400~1418)과 원경왕후 민씨(1365∼1420)의 무덤으로, 인릉(; 순조와 순원왕후 김씨의 무덤)과 함께 1970년 5월 26일 사적 제 194호로 지정되었다.1420년(세종 2) 7월 10일 창경궁 별전에서 원경왕후가 세상을 뜨자 태종의 명으로 같은 해 9월 17일 대모산 기슭에 왕후의 능을 조성하였다. 그로부터 2년 후인 1442년(세종 4) 태종이 승하하자 그해 9월 6일 세종이 어머니 원경왕후의 능 옆에 태종의 능을 조성하였다.헌릉은 두 개의 능이 같은 언덕에 조성된 쌍릉으로, 조선 태조의 건원릉 형식을 따랐다. 두 능은 12칸의 난간석을 둘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봉분의 아랫부분은 병풍석이 감싸고, 능 앞의 석물은 망주석.혼유석.장명등 각 1쌍, 석호()·석양() 각 4쌍, 문인석.무인석·석마() 각 2쌍이 배치되었다. 이는 고려 공민왕릉(현릉)을 기본으로 삼은 배치법으로 , 조선왕릉의 위엄과 웅장함을 잘 드러낸다.

  찾아가는길

 신들의 정원 다른 곳도 보세요

LIST
SMALL

조선 제21대 왕 영조(, 재위 1724~1776)의 맏아들로 사후 왕으로 추존된 진종( 1719~1728)과 부인 효순왕후 조씨의 무덤이다 3개의 조선왕릉(공릉·순릉·영릉)으로 이루어진 파주삼릉 (, 사적 제205)에 속해 있다.1728년(영조 4) 11월 16일 10살의 나이로 창경궁 진수당에서 세상을 떠난 효장세자의 무덤은 ‘효장묘’라 하였는데 1776년(정조 즉위) 왕(진종)으로 추존되면서 무덤도 영릉()이라는 능호를 받았다. 왕릉과 왕비릉이 나란히 놓인 쌍릉으로, 병풍석과 난간석은 설치되지 않았다. 각 봉분 앞에 상석 1좌씩 놓았고, 그 양측에 망주석 1쌍을 세웠으며, 봉분 주위에 석호()·석양() 각 2쌍을 교대로 배치하였다.봉분 아랫단에는 문인석,석마() 각 1쌍과 사각옥개형 장명석을 설치하였고, 무인석은 세우지 않았다. 능이 조성된 언덕 아래쪽에 정자각.비각.홍살문이 있다. 왕과 왕후로 추존되기 전 세자와 세자빈 무덤으로 조성되었을 때 설치한 모습 그대로이며, 추존 후에도 별도의 가설을 하지 않았다

찾아가는길

  신들의 정원 다른 곳도 보세요

LIST
SMALL

조선 제 9대 왕 성종( 재위 1469∼1494)의 원비인 공혜왕후 한씨(1456∼1474)의 무덤이다.  공릉·순릉·영릉으로 이루어진 파주삼릉(, 사적 제205호) 경내에 있다. 공혜왕후는 1474년(성종 5) 4월 15일 왕비로 봉해진 지 5년 만에 창덕궁 구현전에서 1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고, 6월 7일 현 위치에 안장되었다.봉분을 감싸고 있는 12칸의 난간석은 태조의 건원릉(), 태종의 헌릉() 난간석을 본떠 만든 것이다. 난간석 밖으로는 석양()과 석호() 각 2쌍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봉분 앞으로 상석이 있고, 상석 좌우에 망주석 1쌍이 있으며, 봉분 뒤쪽으로는 곡장(; 나지막한 담)이 설치되었다.봉분 아랫단에는 문인석 1쌍과 석마() 1쌍이 마주보고 서 있고, 중앙에 팔각 장명등이 있다. 가장 아랫단에는 무인석 1쌍과 석마 1쌍이 마주 서 있으며, 능원 아래에 정자각과 비각, 홍살문이 있다. 비각에 보호된 비석은 1817년(순조 17) 9월 세운 것으로, 전면에 ‘조선국공혜왕후순릉’이라 새겨졌다. 병풍석을 세우지 않았을 뿐 조선 초기의 능제()와 비슷한 형태이다.

찾아가는길

  신들의 정원 다른 곳도 보세요

LIST
SMALL

조선 제8대 왕 예종( 1450~1469, 재위 1468∼1469)의 원비 장순왕후() 한씨(1445~1461)의 무덤이다. 공릉·순릉·영릉으로 이루어진 파주삼릉(, 사적 제205호) 경내에 있다.장순왕후는 1461년(세조 7) 12월 5일 세자빈의 신분으로 세상을 떠났고, 1472년(성종 3) 왕후로 추존되었다. 세자빈으로 세상을 떠나 세자빈 묘로 단출하게 조성되었으며, 왕후로 추존된 이후에도 더 이상의 정비는 하지 않았다.봉분에는 병풍석과 난간석이 없고, 망주석 또한 생략되었다. 커다란 봉분을 석양()과 석호()가 좌우에서 호위하고 있으며, 혼유석,장명등,문인석,석마() 등의 석물이 배치되어 있다. 봉분 바깥쪽으로는 곡장(; 나지막한 담장)이 설치되었다.능 아래쪽의 홍살문에서 정자각에 이르는 길을 참도()라 하는데 길이 ‘ㄱ’자로 꺾여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참도는 원래 직선으로 만들지만 지형조건 때문에  중간지역에서  꺾이게 되었는데 조선왕릉 중 참도가 꺾인 곳은 공릉뿐이다

찾아가는길

  신들의 정원 다른 곳도 보세요

LIST
SMALL

조선 제11대 왕 중종(中宗 재위 1506∼1544)의 두 번째 계비인 문정왕후 윤 씨의 무덤이다. 명종과 인순왕후 심씨의 무덤인 강릉()과 함께 1970년 5월 26일 사적 201호로 지정되었다. 문정왕후는 자신이 중종 옆에 묻힐 요량으로 장경왕후의 능 옆에 있었던 중종의 정릉()을 풍수지리가 안좋다 하여 선릉옆으로 옮겼다. 하지만 새로 옮긴 정릉의 지대가 낮아 홍수 피해가 자주 일어나자 결국 그 자리에 묻히지 못하고 현재의 위치에 예장되어 중종 옆에 묻히려던 소망을 이루지 못했다 태릉은 왕비의 단릉(單陵)이라 믿기 힘들 만큼 웅장한 능으로, 조성 당시 문정왕후의 세력이 얼마나 컸는지를 짐작케 한다. 봉분을 감싼 12면 병풍석에는 12 지신상과 구름 문양을 새겼고, 병풍석 위의 만석(滿石) 중앙에 12간지를 문자로 새겼다. 봉분 바깥쪽으로는 12칸의 난간석을 둘렀으며, 봉분 앞에 상석과 망주석 1쌍을 세웠다. 봉분 주위로 석양(石羊)·석호(石虎) 각 2쌍을 교대로 배치시켰으며, 뒤쪽으로는 곡장(曲墻; 나지막한 담)을 쌓았다. 봉분 아랫단에 문인석과 석마(石馬) 각 1쌍, 팔각 장명 등이 있고, 가장 아랫단에 무인석과 석마 각 1쌍이 있다. 능원 밑에는 정자각·비각·수직 방(守直房)·홍살문이 있다.

■ 찾아가는길

공 감 . 댓 글 . 구 독 !! 꾸벅 !!

▼ 재미있는 다른 글도 보세요 ▼

LIST
SMALL

정릉은 단릉으로 조성된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의 능이다. 처음에는 현재 영국대사관 자리에 능역이 조영되었으나, 태조가 승하한 후, 원비의 태생인 태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신덕왕후는 평민으로 강등되고, 현재의 위치로 천장되었다. 따라서 왕릉제인 병풍석이나 난간석은 봉분에서 사라지고, 4각 장명등, 고석, 상석 등만이 원래의 것으로 추정된다. 그 중 장명등은 고려시대 공민왕릉의 양식을 따른 것으로 조선시대 능역의 가장 오래된 석물인 동시에 예술적 가치가 높다.정릉의 공간은 일반 왕릉의 영역이 직선축을 이루는 데 비해, 자연 지형에 맞추어 절선축으로 조성되어 있다. 능역 입구 금천교의 모습은 우리나라 자연형 석교의 조형기술을 볼 수 있으며 재실터 양 옆으로 서 있는 느티나무의 보호수도 살펴 볼만한 가치 있는 역사경관이다

역사탐방

극진히 사랑했던 현비가 갑자기 승하하자 태조는 도성 안인 현 덕수궁 뒤편 현재 영국대사관 자리로 추정되는 곳에 능역을 조성하고 강씨 봉분 우측에 훗날 자신이 묻힐 자리까지 함께 마련하여 능호를 정릉으로 정하였다. 아울러 능의 동편에 흥천사(興天寺)라는 절을 지어 재궁으로 삼고 능침사찰로 하였다.그러나 잘 조성된 정릉은 신덕왕후의  왕자인  방번과 방석이 왕자의 난을 거치면서 살해되고  태조의 원비 신의왕후의  다섯 번째 소생인 태종이 즉위하면서부터 푸대접을 받았다. 태종은 정릉의 능역 100보 근처까지 주택지로 정하여 세도가들이 정릉 숲의 나무를 베어 저택을 짓는 것을 허락하고,청계천 광통교(현재의 광교)가 홍수에 무너지자 능의 석물 중 병풍석을 광통교 복구에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 목재나  석재들은  태평관을 짓는 데 쓰게 하도록 하였다.  정릉이 있던 이 일대는 지금까지 정동(貞洞)으로 불리고 있다. 그로부터 260여년이 지난 1669년(현종 10) 신덕왕후는 현종에 의해 복권되면서 그 능이 현재와 같이 재조성되었다

.
 

찾아가는길 

재미있는 다른글도 보세요 

LIST
SMALL

조선 제7대 왕 세조(世祖 1417~1468, 재위 1455∼1468)와 세조의 비 정희왕후(貞熹王后) 윤씨(1418∼1483)의 무덤이다. 1970년 5월 26일 사적 제197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왕릉 최초로 왕과 왕비의 능을 서로 다른 언덕 위에 따로 만든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 형식을 취하였고, 두 능의 중간지역에 하나의 정자각(丁字閣)을 세웠다.세조의 유언에 따라 봉분 내부 돌방을 만들지 않고 회격(灰隔; 관을 구덩이 속에 내려놓고, 그 사이를 석회로 메워서 다짐)으로 처리하였다.무덤 둘레에 병풍석을 세우지 않았으며, 이전에 병풍석에 새겼던 12지신상은 난간석에 새겼다. 또 능역 아래쪽에는 홍살문에서 정자각에 이르는 길인 참도(參道)가 생략되어 있다.이렇게 간소하게 능을 조성함으로써 부역인원과 조성비용을 감축하였는데 이는 조선 초기 능제(陵制)에 변혁을 이루는 계기가 되었고, 이런 상설제도는 이후의 왕릉 조성에 모범이 되었다. 능 주위에는 문인석·무인석·상석·망주석·석호(石虎)·석양(石羊) 등의 석물이 배치되어 있다

찾아가는길

재미있는 다른글도 보세요 

LIST
SMALL

조선 선조의 5번째 아들이자 인조()의 아버지로 1632년(인조 10) 왕으로 추존된 원종( 1580∼1619)과 부인 인헌왕후() 구씨(1578∼1626)의 무덤이다. 1970년 5월 26일 사적 제 202호로 지정되었다. 인조반정(1623)으로 아들 능양군인 인조가 왕위에 오르자 대원군에 봉해졌고, 인조 10년 (1633) 원종의 칭호와 함께 그의 무덤을 장릉으로 불렀다 . 원종의 무덤은 원래 양주군에 있었으며 1622년(인조 즉위) 흥경원()이라는 원호()를 받았다. 1627년(인조 5) 현 위치로 옮겨졌고, 1632년 원종이 왕으로 추존되면서 장릉()이라는 능호를 받게 되었다. 한편 1626년 조성된 인헌왕후의 무덤은 현 위치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있다가 1627년 원종 옆으로 이장되었다.왕릉과 왕비릉이 나란히 놓인 쌍릉으로, 병풍석이나 난간석은 설치하지 않고 봉분 아래로 얕은 호석()만 둘렀는데 이는 추봉된 다른 왕릉의 전례를 따른 것이다. 각 능 앞에 상석이 놓여 있고, 상석 좌우로 망주석 1쌍이 있다. 봉분 주위로 석양()·석호() 각 2쌍을 교대로 배치하였으며, 봉분 뒤쪽으로는 3면의 곡장(; 나지막한 담)을 둘렀다. 봉분 아랫단에 문인석 석마() 각 1쌍과 장명등, 그 아랫단에 무인석·석마 각 1쌍이 있고, 능원 밑에 정자각 비각 수복방 홍살문 재실이 있다.

찾아가는길

신들의 정원 다른 곳도 보세요

LIST
SMALL

서울특별시 성북구 석관동에 있는 조선 20대왕 경종과 그의 계비 선의왕후 어씨의 능 조선 20대 경종 (재위 1720∼1724)과 그의 비인 선의왕후의 무덤이다. 경종은 희빈장씨의 소생으로 어렸을 때부터 몸이 약하여 왕위에 오른지 4년만에 세상을 떠났다. 일반적으로 쌍릉은 좌·우로 조성하지만 이 무덤은 앞·뒤로 무덤을 조성한 상하이봉릉(上下異封陵)이다. 이처럼 앞·뒤로 만든 것은 풍수지리설에 의한 것으로 효종과 인선왕후의 무덤인 영릉에서 처음 나타났다. 왕릉에는 무덤 둘레에 병풍석을 세우지 않고 대신 무덤 주위에 12칸의 난간석을 설치했는데, 난간석의 기둥에는 십이간지가 방위에 따라 문자로 새겨져 있다. 난간석 밖으로 망주석·장명등·문무석과 말·양·호랑이가 있다. 무덤의 석물 배치와 양식은 명릉과 같이 규모가 작고 간소한 후릉제도를 택하였다.  왕비릉의 석물 배치는 왕릉과 같으나 무덤 뒤에 담을 두르지 않았다.

찾아가는길

공 감 . 댓 글 . 구 독  !!  꾸벅 !!

재미있는 다른글도 보세요 

LIST
SMALL

건릉(健陵)은 정조(正祖)와 비(妃) 효의왕후(孝懿王后) 김씨(金氏 淸風)의 능(陵)으로 경기도 화성시(華城市) 태안읍(台安邑) 안녕리(安寧里)에 있다.조선 제22대 왕 정조( 1752~1800, 재위 1776~1800)와 부인 효의왕후() 김씨(1753~1821)를 합장한 무덤이다. 정조의 아버지로 사후에 왕으로 추존된 장조 (祖, 사도세자)와 헌경왕후 홍씨의 합장묘인 융릉()과 함께 1970년 5월 26일 사적 제206호로 지정되었다. 건릉은 봉분 안에 2실을 갖춘 합장릉이다. 정조는 조선의 제22대 왕으로 휘는 산(祘), 자는 형운(亨運),호는 홍재(弘齋)다.  영조의 손자로 아버지는 장헌세자 (莊獻世子: 思悼世子)이고 , 어머니는 영의정 홍봉한(洪鳳漢)의 딸 혜경궁(惠慶宮: 惠嬪) 홍씨(洪氏)이다. 1759년(영조 35)에 세손에 책봉되고, 1762년(영조 38) 2월에 좌참찬 김시묵(金時默)의 딸 효의왕후(孝懿王后)를 맞아 가례를 치렀다.  이 해 5월에 아버지가 뒤주 속에 갇혀 죽는 광경을 목도해야 했다.   1764년(영조 40)  2월 영조가 일찍 죽은 맏아들 효장세자(孝章世子)의 뒤이어 종통을 잇게 하였다.

인적이 드물어 뭔가 불쑥하고 나올것 같지만 그래도 아름다운 솔밭길과 숲길 그렇게 긴 오솔길을 지나고 환하게 밝은 곳에 짜잔하고 화려한 왕릉이 보인다.

사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조 선 왕 릉은 대부분 비슷하지만 우거진 나무들 속에 숨겨있는 보물 (세계문화유산)을 보기 위해 걷는 오솔길과 솔밭길의 아름다움은 백날 이야기 해봐야 직접 가보지 않고선 느끼지 못한다.



찾아가는길

공 감 . 댓 글 . 구 독  !!  꾸벅 !!

 신들의 정원 다른 곳도 보세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