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왕자공주묘

서삼릉에 묻힌 망자의 숫자로 최대다. 서삼릉 내에 후궁, 왕자, 공주의 묘 46기가 있다. 이중 희묘(禧墓)와 경선군묘(慶善君墓) 이외의 묘는 후궁과 왕자공주묘로 구분돼 집장(集葬)돼 있다. 가로 세로 반듯하게 정렬한 무덤군이 보기에 참 민망하다. 왕릉 경역내에는 후궁.왕자.공주의 묘를 쓸 수 없음에도 서삼릉에는 이렇게 많은 묘가 있다니 아이러니하지만 그럴만한 사연이 있다고 합니다. 경술국치로 조선왕조가 멸망한 1910년 11월 일본은 왕릉의 품격을 비하하고 훼손키 위해 궁내성 소속으로 망조왕실(亡組王室)을 관리하기 위해 이왕직(李王職)이 설치됐다. 이왕직에서는 서울, 경기 일원에 산재한 후궁, 왕자,공주등의 분묘를 집장관리한다는 명목아래 서삼릉 경역내 집장지가 선정됐다. 일제때 숙종의 후궁인 소의 유씨의 묘외 15기와 세종대왕의 1녀 정소공주묘외 18기를 천묘 집장했다

8 ·15 광복 후에는 일제 때 옮기지 못한 후궁묘 중 묘역 주변 개발로 인해 존치가 어렵게 된 명종 후궁 경빈이씨묘 외 6기를 천묘했다.왕자묘로서는 고종의 1남 완화군묘를 천묘했다. 아직 서울 경기 일원에 묻혀 있는 일부와 서삼릉의 46기가 전부다. 이렇게 서삼릉 경역내 집장은 능역 일원을 공동묘역으로 변형시켜 왕릉으로서의 존엄과 품격을 비하 훼손한 일제의 의도적 책략이었다.

왕자.공주묘 (비공개지역)

아름다운 길 서삼릉입구에 도착하니 비공개지역 효릉을 답사하고자 하는 몇 몇의 학생들과 관람객들이 있었다. 서삼릉 안에는 참으로 볼 것이 많다. 효릉뿐 아니고 회묘. 태실,소경원,왕자.공주묘,후궁묘까지 일반인들이 잘모르는 비공개지역이 많았다. 그 중 후궁묘는 유네스코에 등재된 조선왕릉은 아니지만 왕자.공주묘 역시 쉽게 볼 수 없는 서삼릉 내의 비공개지역이므로 소개하고자 합니다. 

릉만 후다닥 답사하면 될 줄 알았지만 효릉이 희릉.예릉과 함께 붙어 있는 게 아니라 빠른 걸음으로 10여분을 걸어야 하는 거리에 있고 가는 길에 소경원 왕자공주묘,후궁묘,회묘,태실등 많은 비공개지역을 함께 볼 수 있는 좋은 시간이 되었습니다.

찾아가는법

전철 삼송역 5번출구로 나와 버스정류장에서 041번 마을버스를 타고 - 약 10여분을 달려 삼송동 허브나라에서 내려 - 길건너 서삼릉 안내판 방향으로 약 15분 쉬엄쉬엄 걸어가면 원당목장 경마교육원옆에 서삼릉이 있다.          

여기서 잠깐 !  공주라는 말은 ?

주는 중국 진 · 한나라 때 비롯된 말이라고 하나, 우리나라의 경우 삼국시대 이전부터 공주라는 말을 사용했다. 낙랑공주와 고구려의 온달에게 시집간 평강공주가 있으며 <삼국유사> 서동요의 주인공 선화공주도 있다. 제도적으로 공주라는 호칭은 고려 문종 때의 관제에 따르면 대장공주와 함께 정1품이었다. 그 뒤 공양왕 때 도평의사사의 건의에 따라 왕의 딸은 공주라고 불렸으나 조선 초기까지도 제도가 미비해 왕녀·궁주. 옹주 등 여러 가지로 불려 왕의 적설녀 외에 왕의 후궁도 공주라 칭했다. 그 후 조선에서는 왕의 정실이 낳은 딸을 '공주'라고 하고, 후궁이 낳은 딸을 '옹주'라고 해 구별했다. 공주는 지극히 존귀한 신분으로서 품계를 초월한 외명부다.

공주가  혼인하게 되면  모든 절차와 준비는  종부시(宗簿侍)에서  주관해 국법에 따라 예로써 치렀다. 공주의 남편은 종1품의 위(尉)인 광덕대부 숭덕대부로 의빈(儀賓)에 봉작됐으며 그에 준한 녹봉을 받았다.  의빈이 죽은 뒤에도 공주는 계속 쌀·콩·보리를 봄과 가을에 받았다. 공주가 낳은 아들은 처음 종7품, 사위는 2등급 낮은 종8품의 품계를 받고 그에 준한 대우를 받았다. 공주는 내명부 · 외명부와 함께 궁중의 잔치, 왕비의 시위 혼인 및 초상 등 여러 행사에 참석했다.  공주가 죽으면 국가에서는 왕녀의 상장제도에 따라 염빈. 예장. 조묘의 3도감을 설치하고 3일간 조회를 열지 않으며, 왕 이하 궁인들은 고기를 먹지 않는 등 정중한 예우를 표했다고 한다.

 신들의 정원 다른 곳도 보세요

LIST
SMALL

조선 제12대 왕 인종( 1515~1545, 재위 1544~1545)과 인종의 비 인성왕후() 박씨(1514~1577)의 무덤이다. 3개의 왕릉(희릉·효릉·예릉)과 후궁·대군·공주의 무덤들로 이루어진 서삼릉(西, 사적 제200) 경내에 있다. 왕릉과 왕비릉이 한 곳에 나란히 놓인 쌍릉으로, 효성이 지극했던 인종을 기려 능호도 효릉()으로 정해졌다.인종은 재위 8개월 만인 15457월 경복궁 청연루에서 숨을 거뒀다. 같은 해 1015 부모 옆에 묻어달라는 인종의 유언에 따라 부왕인 중종과 어머니 장경왕후의 능인 정릉() 옆에 능을 조성하였다. 하지만 1562(명종 17) 정릉이 현재의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의선릉() 옆으로 옮겨갔고, 장경왕후의 능은 희릉()이라는 능호로 바뀌어 효릉 옆에 있다.인종이 자신의 장사를 검소하게 치르도록 명한 데다 당시 인종의 외가인 대윤()과 명종의 외가인 소윤() 사이의 권력투쟁으로 인해 명종과 문정왕후 측에서 상례절차를 줄이고 능역 조성을 소홀히 한 것으로 여겨진다. 1577(선조10)1129  인성왕후  박씨가 세상을 떠나  왕비릉을 조성했을 때  왕릉에 병풍석을 설치하고 다른 석물들도 개수하였다.

비공개지역이므로 미리부터 예약해야 한다 지금은 어떨런지 모르지만 하여간 1주일전 서삼릉출장소에 전화로 예약하고 새벽밥을 먹고 길을 나섰다. 아름다운 길 서삼릉입구에 도착하니 비공개지역 효릉을 답사하고자 하는 몇 몇의 학생들과 관람객들이 있었다.서삼릉 안에는 참으로 볼 것이 많다.효릉뿐만 아니고 태실,소경원,왕자.공주묘,후궁묘까지 일반인들이 잘모르는 비공개지역이 많았다.해설사의 자세한 안내로 2시간 넘게 조선왕릉의 아름다운 오솔길을 걸으며 선조님들의 숨결을 느낄 수 있었던 유익한 시간이었다.

찾아가는법

전철 삼송역 5번출구로 나와 버스정류장에서 041번 마을버스를 타고 - 약 10여분을 달려 삼송동 허브나라에서 내려 -  길건너 서삼릉 안내판 방향으로 약 15분 쉬엄쉬엄 걸어가면 원당목장 경마교육원옆에 서삼릉이 있다.

 신들의 정원 다른 곳도 보세요  

LIST

+ Recent posts